[공법] 건축법 관련 문제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10-24 16:06 조회3,23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2회 기출]
면적이 1,000m² 인 대지에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 건축법령상 대지의 조경 등의 조치가 면제될 수 있는 건축물이 아닌 것은?(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1) 자연녹지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800m²인 수련시설
2) 상업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1,000m²인 물류시설
3) 연면적이 1,000m²인 공장
4) 연면적이 500m²인 축사
5) 자연환경보전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330m²인 단독주택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
.
.
.
.
정답은 2번
1) 녹지지역에 건축하는 경우에는 조경의무가 없다.
2) 상업지역에서 면적 200m² 이상인 대지에 물류시설을 건축하는 경우 조경의무가 적용된다.
3) 연면적의 합계가 1,500m² 미만인 공장의 경우에는 조경의무가 적용되지 않는다.
4) 축사에 대해서는 조경의무가 적용되지 않는다.
5) 자연환경보전지역에 건축하는 경우에는 조경의무가 없다.
[20회 기출]
건축법령상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점영업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를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²인 경우
2) 건축물의 2층이 노인복지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²인 경우
3) 방송국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m²인 경우
4) 동물원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m²인 경우
5) 묘지 관련 시설 중 화장장의 용도로 쓴느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700m²인 경우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
욕나오는 문제. 각 건물별 연면적 예외 기준을 외우는건 너무 어려운 부분.
내화구조 건물 연면적 기준은 대부분 300m² 이상이나 동물원의 경우는 500m² 이상임.
[15회 기출]
건축법상 건축물이 있는 대지는 일정면적에 미달되게 분할할 수 없다. 조례의 기준이 되는 용도지역별 원칙적인 최소면적 기준으로서 옳은 것은?
1) 제1종 전용주거지역 : 120m²
2) 제2종 일반주거지역 : 90m²
3) 근린상업지역 : 150m²
4) 일반공업지역 : 200m²
5) 자연녹지지역 : 330m²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3번
대지분할면적은 주거지역은 60m² 이하,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은 150m² 이하, 녹지지역은 200m² 이하이다.
[25회 기출]
건축법령상 건축물의 높이 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늘린 것은?(단, 건축법 제73조에 따른 적용 특례 및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1) 전용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하는 건축물에 대하여는 일조의 확보를 위한 높이 제한이 적용된다.
2) 일반상업지역에 건축하는 공동주택으로서 하나의 대지에 두 동 이상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채광의 확보를 위한 높이 제한이 적용된다.
3)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층수에 관계없이 높이 9미터 이하의 부분은 정북방향으로의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 1.5미터 이상 띄운다.
4) 허가권자는 같은 가로구역에서 건축물의 용도 및 형태에 따라 건축물의 높이를 다르게 정할 수 있다.
5) 허가권자는 가로구역별 건축물의 최고 높이를 지정하려면 지방건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2번
일반상업지역 및 중심상업지역에 건축하는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인접한 동 간의 거리확보를 위한 일조권제한이 적용되지 않는다.
면적이 1,000m² 인 대지에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 건축법령상 대지의 조경 등의 조치가 면제될 수 있는 건축물이 아닌 것은?(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1) 자연녹지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800m²인 수련시설
2) 상업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1,000m²인 물류시설
3) 연면적이 1,000m²인 공장
4) 연면적이 500m²인 축사
5) 자연환경보전지역인 대지에 건축하는 연면적이 330m²인 단독주택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
.
.
.
.
정답은 2번
1) 녹지지역에 건축하는 경우에는 조경의무가 없다.
2) 상업지역에서 면적 200m² 이상인 대지에 물류시설을 건축하는 경우 조경의무가 적용된다.
3) 연면적의 합계가 1,500m² 미만인 공장의 경우에는 조경의무가 적용되지 않는다.
4) 축사에 대해서는 조경의무가 적용되지 않는다.
5) 자연환경보전지역에 건축하는 경우에는 조경의무가 없다.
[20회 기출]
건축법령상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점영업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를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²인 경우
2) 건축물의 2층이 노인복지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²인 경우
3) 방송국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m²인 경우
4) 동물원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m²인 경우
5) 묘지 관련 시설 중 화장장의 용도로 쓴느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700m²인 경우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
욕나오는 문제. 각 건물별 연면적 예외 기준을 외우는건 너무 어려운 부분.
내화구조 건물 연면적 기준은 대부분 300m² 이상이나 동물원의 경우는 500m² 이상임.
[15회 기출]
건축법상 건축물이 있는 대지는 일정면적에 미달되게 분할할 수 없다. 조례의 기준이 되는 용도지역별 원칙적인 최소면적 기준으로서 옳은 것은?
1) 제1종 전용주거지역 : 120m²
2) 제2종 일반주거지역 : 90m²
3) 근린상업지역 : 150m²
4) 일반공업지역 : 200m²
5) 자연녹지지역 : 330m²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3번
대지분할면적은 주거지역은 60m² 이하,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은 150m² 이하, 녹지지역은 200m² 이하이다.
[25회 기출]
건축법령상 건축물의 높이 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늘린 것은?(단, 건축법 제73조에 따른 적용 특례 및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1) 전용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하는 건축물에 대하여는 일조의 확보를 위한 높이 제한이 적용된다.
2) 일반상업지역에 건축하는 공동주택으로서 하나의 대지에 두 동 이상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채광의 확보를 위한 높이 제한이 적용된다.
3)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층수에 관계없이 높이 9미터 이하의 부분은 정북방향으로의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 1.5미터 이상 띄운다.
4) 허가권자는 같은 가로구역에서 건축물의 용도 및 형태에 따라 건축물의 높이를 다르게 정할 수 있다.
5) 허가권자는 가로구역별 건축물의 최고 높이를 지정하려면 지방건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2번
일반상업지역 및 중심상업지역에 건축하는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인접한 동 간의 거리확보를 위한 일조권제한이 적용되지 않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