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법] 용도지역.용도지구.용도구역 건축제한 관련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10-15 16:28 조회3,03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4회 기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지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1) 저층주택 중심의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은 제2종 전용주거지역으로 지정한다.
2)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공업의 배치를 위해 필요한 지역은 준공업지역으로 지정한다.
3) 공유수면의 매립구역이 둘 이상의 용도지역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걸친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용도지역과 같은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것으로 본다.
4) 도시지역에 대해 세부 용도지역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건폐율에 대해서는 자연녹지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5) 하나의 대지가 녹지지역과 그 밖의 다른 용도지역에 걸쳐 있으면서, 녹지지역의 건축물이 고도지구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 및 대지의 전부에 대해 고도지구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5번
1) 저층주택 중심의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역은 제1종 전용주거지역
2)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공업의 배치를 위한 지역은 일반공업지역
3) 공유수면 매립구역이 둘 이상의 용도지역에 걸쳐 있는 경우엔 도시.군관리계획 결정으로 지정.
4) 도시지역에 대해 세부 용도지역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건폐율은 보전녹지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
[22회 기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아파트를 건축할 수 있는 용도지역은?
1) 제1종 전용주거지역
2) 제1종 일반주거지역
3) 유통상업지역
4) 준주거지역
5) 일반공업지역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
아파트 건축이 가능한 지역으로는 제2종 일반주거지역, 제3종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이다.
(상식적으로 모든 지역에 건축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모두 암기할 수는 없고 각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서 대략적으로 유추선택하는 방법으로 풀어야 할 것입니다. 단독이나 빌라가 주로 위치하는 전용주거지역과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은 아파트가 위치하기에는 부적당할 것입니다.)
[24회 기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조례로 정할 수 있는 건폐율의 최대한도가 다음 중 가장 큰 용도지역은?
1) 준주거지역
2) 일반상업지역
3) 근린상업지역
4) 전용공업지역
5) 제3종 일반주거지역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2번
준주거지역은 70%, 일반상업지역은 80%, 근린상업지역은 70%, 전용공업지역은 70%, 제3종 일반주거지역은 50% 이하이다.(용도지역별 건폐율과 용적률 상한은 전부 외워야 합니다. 내용이 많아서 외우기 쉽진 않지만 시험보기 바로 전에라도 한번 더 확인해 보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23회 기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지구별 건축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다만, 건축물은 도시.군계획 시설이 아님)
ㄱ. 경관지구 안에서의 건축물의 건폐율.용적률.높이.최대너비.색채 및 대지안의 조경 등에 관하여는 도시계획위원회가 정한다.
ㄴ. 집단취락지구 안에서의 건축제한에 관하여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ㄷ. 고도지구 안에서 건축물을 신축하는 경우 도시.군관리계획으로 정하는 높이를 초과하여 건축할 수 없다.
ㄹ. 자연취락지구 안에서는 5층 이하의 범위에서 관광휴게시설을 건축할 수 있다.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ㄷ, ㄹ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
ㄱ. 경관지구에서는 그 지구의 경관의 보호.형성에 장애가 있다고 인정해서 도시계획조례로 정하는 건축물은 건축할 수 없다.
ㄹ. 자연취락지구에서는 건축물의 층수는 4층이하 이어야 하고 관광휴게시설은 건축할 수 없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지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1) 저층주택 중심의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은 제2종 전용주거지역으로 지정한다.
2)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공업의 배치를 위해 필요한 지역은 준공업지역으로 지정한다.
3) 공유수면의 매립구역이 둘 이상의 용도지역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걸친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용도지역과 같은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것으로 본다.
4) 도시지역에 대해 세부 용도지역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건폐율에 대해서는 자연녹지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5) 하나의 대지가 녹지지역과 그 밖의 다른 용도지역에 걸쳐 있으면서, 녹지지역의 건축물이 고도지구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 및 대지의 전부에 대해 고도지구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5번
1) 저층주택 중심의 편리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지역은 제1종 전용주거지역
2) 환경을 저해하지 않는 공업의 배치를 위한 지역은 일반공업지역
3) 공유수면 매립구역이 둘 이상의 용도지역에 걸쳐 있는 경우엔 도시.군관리계획 결정으로 지정.
4) 도시지역에 대해 세부 용도지역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건폐율은 보전녹지지역에 관한 규정을 적용.
[22회 기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아파트를 건축할 수 있는 용도지역은?
1) 제1종 전용주거지역
2) 제1종 일반주거지역
3) 유통상업지역
4) 준주거지역
5) 일반공업지역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
아파트 건축이 가능한 지역으로는 제2종 일반주거지역, 제3종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이다.
(상식적으로 모든 지역에 건축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모두 암기할 수는 없고 각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서 대략적으로 유추선택하는 방법으로 풀어야 할 것입니다. 단독이나 빌라가 주로 위치하는 전용주거지역과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은 아파트가 위치하기에는 부적당할 것입니다.)
[24회 기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조례로 정할 수 있는 건폐율의 최대한도가 다음 중 가장 큰 용도지역은?
1) 준주거지역
2) 일반상업지역
3) 근린상업지역
4) 전용공업지역
5) 제3종 일반주거지역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2번
준주거지역은 70%, 일반상업지역은 80%, 근린상업지역은 70%, 전용공업지역은 70%, 제3종 일반주거지역은 50% 이하이다.(용도지역별 건폐율과 용적률 상한은 전부 외워야 합니다. 내용이 많아서 외우기 쉽진 않지만 시험보기 바로 전에라도 한번 더 확인해 보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23회 기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지구별 건축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다만, 건축물은 도시.군계획 시설이 아님)
ㄱ. 경관지구 안에서의 건축물의 건폐율.용적률.높이.최대너비.색채 및 대지안의 조경 등에 관하여는 도시계획위원회가 정한다.
ㄴ. 집단취락지구 안에서의 건축제한에 관하여는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ㄷ. 고도지구 안에서 건축물을 신축하는 경우 도시.군관리계획으로 정하는 높이를 초과하여 건축할 수 없다.
ㄹ. 자연취락지구 안에서는 5층 이하의 범위에서 관광휴게시설을 건축할 수 있다.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ㄷ, ㄹ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
ㄱ. 경관지구에서는 그 지구의 경관의 보호.형성에 장애가 있다고 인정해서 도시계획조례로 정하는 건축물은 건축할 수 없다.
ㄹ. 자연취락지구에서는 건축물의 층수는 4층이하 이어야 하고 관광휴게시설은 건축할 수 없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