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주택저당유동화 관련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9-09-05 17:19 조회2,21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4회 기출]
저당담보부증권(MBS)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PTS(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는 지분형 증권이기 때문에 증권의 수익은 기초자산인 주택저당채권 집합물(mortagage pool)의 현금흐름(저당지불액)에 의존한다.
2) MBB(Mortgage Backed Bond)의 투자자는 최초의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다.
3) CMO(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의 발행자는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을 가지고 일정한 가공을 통해 위험-수익 구조가 다양한 트랜치의 증권을 발행한다.
4) MPTB(Mortgage Pay-Through Bond)는 MPTS와 MBB를 혼합한 특성을 지닌다.
5) CMBS(Commercial Mortgage Backed Securities)란 금융기관이 보유한 상업용 부동산 모기지(mortgage)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발행하는 증권이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2번 입니다.
MBB는 최초의 주택저당채권 집합물(모저당)을 담보로 새로운 채권을 발행하는 방법이므로, 모저당의 소유권은 투자자가 아닌 발행기관이 보유합니다.
주택저당유동화 종류에 대해서는 자주 출제되는 부분이므로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잘 암기하고 가셔야 합니다.
[15회 기출]
다음은 다계층저당채권(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 : CMO)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CMO의 조기상환위험은 증권발행자가 부담한다.
2) 이체증권(path-through security)과 저당담보부채권(mortgage backed bond)의 두 가지 성질을 다 가지고 있다.
3) 트랜치별로 적용되는 이자율은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4) 고정이자율이 적용되는 트랜치가 있고, 유동이자율(floating rate)이 적용되는 트랜치도 있다.
5) 장기투자자들이 원하는 콜방어(call protection)를 실현시킬 수 있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1번 입니다.
일반적으로 CMO의 조기상환위험은 증권소유자(투자자)가 부담합니다.
참고로 조기상환위험에 대해 MBB방식은 발행자가 부담하고 MPTS 방식은 투자자가 부담하고 MPTB 방식은 투자자가 부담합니다. MBB방식만 발행자가 부담한다고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저당담보부증권(MBS)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PTS(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는 지분형 증권이기 때문에 증권의 수익은 기초자산인 주택저당채권 집합물(mortagage pool)의 현금흐름(저당지불액)에 의존한다.
2) MBB(Mortgage Backed Bond)의 투자자는 최초의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다.
3) CMO(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의 발행자는 주택저당채권 집합물을 가지고 일정한 가공을 통해 위험-수익 구조가 다양한 트랜치의 증권을 발행한다.
4) MPTB(Mortgage Pay-Through Bond)는 MPTS와 MBB를 혼합한 특성을 지닌다.
5) CMBS(Commercial Mortgage Backed Securities)란 금융기관이 보유한 상업용 부동산 모기지(mortgage)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발행하는 증권이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2번 입니다.
MBB는 최초의 주택저당채권 집합물(모저당)을 담보로 새로운 채권을 발행하는 방법이므로, 모저당의 소유권은 투자자가 아닌 발행기관이 보유합니다.
주택저당유동화 종류에 대해서는 자주 출제되는 부분이므로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잘 암기하고 가셔야 합니다.
[15회 기출]
다음은 다계층저당채권(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 : CMO)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CMO의 조기상환위험은 증권발행자가 부담한다.
2) 이체증권(path-through security)과 저당담보부채권(mortgage backed bond)의 두 가지 성질을 다 가지고 있다.
3) 트랜치별로 적용되는 이자율은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4) 고정이자율이 적용되는 트랜치가 있고, 유동이자율(floating rate)이 적용되는 트랜치도 있다.
5) 장기투자자들이 원하는 콜방어(call protection)를 실현시킬 수 있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1번 입니다.
일반적으로 CMO의 조기상환위험은 증권소유자(투자자)가 부담합니다.
참고로 조기상환위험에 대해 MBB방식은 발행자가 부담하고 MPTS 방식은 투자자가 부담하고 MPTB 방식은 투자자가 부담합니다. MBB방식만 발행자가 부담한다고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