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할인현금흐름 분석법 계산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9-08-28 16:15 조회2,865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20회 기출]
다음 현금흐름표를 기초로 계산한 순현재가치는?(다만, 0년차 현금흐름은 초기투자액, 1년차부터 5년차까지 현금흐름은 현금유입과 유출을 감안한 순현금흐름이며, 할인율은 연 10%, 이 때 기간 5년인 연금의 현가계수는 3.79079이고 일시 불의 현가계수는 0.620921임)
기간 0 1 2 3 4 5
현금흐름 -1000 130 130 130 130 1,430
1) 100만원
2) 200만원
3) 300만원
4) 400만원
5) 500만원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3번 입니다.
순현가법은 투자시 미래의 전체 현금흐름을 적당한 할인율을 이용하여 현재가치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초기투자액에서 매년 발생하는 수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공제하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순현재가치 = -1000(초기투자액) + 130 / (1 + 0.1)^1 + 130 / (1 + 0.1)^2 + 130 / (1 + 0.1)^3 + 130 / (1 + 0.1)^4 + 130 / (1 + 0.1)^5 + 1,300 / ( 1 + 0.1)^5 로 계산기를 두드려도 되지만 친절하게도 문제에 현가계수를 제시하여 주었기 때문에 더 간편하게 -1000 + (130 * 3.79079) + (1,300 * 0.620921) = 300 으로 계산해도 됩니다.
[25회 기출]
수익성지수법에 의한 부동산사업의 투자분석으로 틀린 것은?(단, 사업기간은 모두 1년, 할인율은 연 10%이며, 주어진 조건에 한함)
사업 현금지출(2013.1.1) 현금유입(2013.12.31)
A 100만원 121만원
B 120만원 130만원
C 150만원 180만원
D 170만원 200만원
1) A사업은 B사업의 수익성지수보다 크다.
2) C사업은 D사업의 수익성지수보다 크다.
3) A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는 A와 B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성지수가 더 크다.
4) D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는 C와 D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성지수가 더 크다.
5) 수익성지수가 가장 작은 사업은 B이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입니다.
수익성지수란 부동산투자에서 발생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 합계액을 현금유출의 현재가치 합계액으로 나눈 값으로 1보다 큰 투자안들 중에서 가장 큰 투자안을 선택하면 됩니다.
A사업의 현금유입 현가는 121만원 * 1 / (1 + 0.1>^1) 이므로 110만원이고 수익성지수는 110만원 / 100만원으로 1.1 이 됩니다.
B사업의 현금유입 현가는 120만원 * 1 / (1 + 0.1>^1) 이므로 109.1만원이고 수익성지수는 109.1만원 / 120만원으로 0.91 이 됩니다.
C사업의 현금유입 현가는 180만원 * 1 / (1 + 0.1>^1) 이므로 163.6만원이고 수익성지수는 163.6만원 / 150만원으로 1.09 이 됩니다.
D사업의 현금유입 현가는 200만원 * 1 / (1 + 0.1>^1) 이므로 181.8만원이고 수익성지수는 181.8만원 / 170만원으로 1.07 이 됩니다.
따라서 D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보다 C와 D사업에 투자하는 경우가 수익성지수가 더 큽니다.
이런 계산문제들이 평소에는 간단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막상 시험장에서 약간 변형된 형태로 출제가 되면 이걸 풀어야 할지 건너뛰어야 할지 상당히 고민이 되게 됩니다. 이 문제처럼 계산기를 여러번 두들겨야 되는 경우는 과감하게 뒤로 미루시고 나중에 혹시라도 시간이 남으면 다시 풀어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하지만 아마도 시간은 안남을 것입니다. 그냥 계산문제는 되도록 출제가 안되기를 바래야 겠습니다.
다음 현금흐름표를 기초로 계산한 순현재가치는?(다만, 0년차 현금흐름은 초기투자액, 1년차부터 5년차까지 현금흐름은 현금유입과 유출을 감안한 순현금흐름이며, 할인율은 연 10%, 이 때 기간 5년인 연금의 현가계수는 3.79079이고 일시 불의 현가계수는 0.620921임)
기간 0 1 2 3 4 5
현금흐름 -1000 130 130 130 130 1,430
1) 100만원
2) 200만원
3) 300만원
4) 400만원
5) 500만원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3번 입니다.
순현가법은 투자시 미래의 전체 현금흐름을 적당한 할인율을 이용하여 현재가치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초기투자액에서 매년 발생하는 수익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공제하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순현재가치 = -1000(초기투자액) + 130 / (1 + 0.1)^1 + 130 / (1 + 0.1)^2 + 130 / (1 + 0.1)^3 + 130 / (1 + 0.1)^4 + 130 / (1 + 0.1)^5 + 1,300 / ( 1 + 0.1)^5 로 계산기를 두드려도 되지만 친절하게도 문제에 현가계수를 제시하여 주었기 때문에 더 간편하게 -1000 + (130 * 3.79079) + (1,300 * 0.620921) = 300 으로 계산해도 됩니다.
[25회 기출]
수익성지수법에 의한 부동산사업의 투자분석으로 틀린 것은?(단, 사업기간은 모두 1년, 할인율은 연 10%이며, 주어진 조건에 한함)
사업 현금지출(2013.1.1) 현금유입(2013.12.31)
A 100만원 121만원
B 120만원 130만원
C 150만원 180만원
D 170만원 200만원
1) A사업은 B사업의 수익성지수보다 크다.
2) C사업은 D사업의 수익성지수보다 크다.
3) A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는 A와 B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성지수가 더 크다.
4) D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는 C와 D사업에 투자하는 경우보다 수익성지수가 더 크다.
5) 수익성지수가 가장 작은 사업은 B이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입니다.
수익성지수란 부동산투자에서 발생하는 현금유입의 현재가치 합계액을 현금유출의 현재가치 합계액으로 나눈 값으로 1보다 큰 투자안들 중에서 가장 큰 투자안을 선택하면 됩니다.
A사업의 현금유입 현가는 121만원 * 1 / (1 + 0.1>^1) 이므로 110만원이고 수익성지수는 110만원 / 100만원으로 1.1 이 됩니다.
B사업의 현금유입 현가는 120만원 * 1 / (1 + 0.1>^1) 이므로 109.1만원이고 수익성지수는 109.1만원 / 120만원으로 0.91 이 됩니다.
C사업의 현금유입 현가는 180만원 * 1 / (1 + 0.1>^1) 이므로 163.6만원이고 수익성지수는 163.6만원 / 150만원으로 1.09 이 됩니다.
D사업의 현금유입 현가는 200만원 * 1 / (1 + 0.1>^1) 이므로 181.8만원이고 수익성지수는 181.8만원 / 170만원으로 1.07 이 됩니다.
따라서 D사업에만 투자하는 경우보다 C와 D사업에 투자하는 경우가 수익성지수가 더 큽니다.
이런 계산문제들이 평소에는 간단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막상 시험장에서 약간 변형된 형태로 출제가 되면 이걸 풀어야 할지 건너뛰어야 할지 상당히 고민이 되게 됩니다. 이 문제처럼 계산기를 여러번 두들겨야 되는 경우는 과감하게 뒤로 미루시고 나중에 혹시라도 시간이 남으면 다시 풀어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하지만 아마도 시간은 안남을 것입니다. 그냥 계산문제는 되도록 출제가 안되기를 바래야 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