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거미집이론 관련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9-08-15 15:16 조회3,719회 댓글2건관련링크
본문
[19회 기출]
거미집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이 공급의 탄력성보다 클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지면 새로운 균형으로 수렴한다.
2)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이 같을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지면 균형으로부터 이탈.발산한다.
3) 균형의 이동을 비교정학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4) 가격이 변해도 수요량은 일정기간 후에 변한다고 가정한다.
5) 가격이 변하면 공급량은 즉각 변한다고 가정한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1번 입니다.
2)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이 같을 경우는 같은 궤적으로 수급량과 가격이 순환하는 규칙적 순환형이 된다.
3) 가격변동에 대한 공급의 시차를 고려하여 그 일시적 균형의 변동과정을 동태적으로 분석한 동태모형이다.
4), 5) 가격이 변동하면 수요는 즉각적으로 영향을 받지만, 공급량은 일정한 생산기간이 경과한 후라야만 변동한다고 가정한다.
일단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문제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되는데 수렴이 된다는 것은 뭔가 안정적인 의미이고 발산이 된다는 것은 불안정하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됩니다. 무주택자 입장에서 공급이 많은 경우가 좋을지 수요가 많은 경우가 좋을지를 생각해보면 당연히 공급이 많은 경우가 집값이 안정화 되기 때문에 좋을 것입니다. 이것을 기울기로 대입해 보면 공급의 기울기가 수요의 기울기보다 클 때가 안정적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반대로 수요의 기울기가 공급의 기울기보다 클 때에는 불안정하게 발산한다고 암기하면 됩니다.
[25회 기출]
A와 B부동산시장의 함수조건 하에서 가격변화에 따른 동태적 장기 조정과정을 설명한 거미집이론에 의한 모형형태는?(단, P는 가격, Qd는 수요량, Qs는 공급량이고, 가격변화에 수요는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공급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반응하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 A부동산시장 : 2P = 500 - Qd, 3P = 300 + 4Qs
- B부동산시장 : P = 400 - 2Qd, 2P = 100 + 4Qs
1) A : 수렴형, B : 발산형
2) A : 발산형, B : 순환형
3) A : 순환형, B : 발산형
4) A : 수렴형, B : 순환형
5) A : 발산형, B : 수렴형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입니다.
한 단계 응용된 문제로 수요함수와 공급함수의 기울기를 보면 됩니다.
A부동산시장 수요함수 기울기 : P = 250 - (1/2)Qd 로 기울기는 1/2
A부동산시장 공급함수 기울기 : P = 100 + (4/3)Qs 로 기울기는 4/3
공급함수 기울기가 더 크므로 수렴형
B부동산시장 수요함수 기울기 : P = 400 - 2Qd로 기울기는 2
B부동산시장 공급함수 기울기 : P = 50 + 2Qs로 기울기는 2
수요함수와 공급함수 기울기가 같으므로 순환형
[21회 기출]
다음 제시된 조건하에서 수요가 증가한다면, 거미집이론에 의한 A.B부동산의 모형 형태는?(다만, 다른 조건은 동일함)
- A부동산 : 수요의 가격탄력성 1.1, 공급의 가격탄력성 0.9
- B부동산 : 수요의 가격탄력성 0.9, 공급의 가격탄력성 1.3
1) A : 수렴형, B : 발산형
2) A : 발산형, B : 순환형
3) A : 순환형, B : 발산형
4) A : 수렴형, B : 순환형
5) A : 수렴형, B : 수렴형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1번 입니다.
기울기가 아닌 가격탄력성이 제시된 형태의 문제입니다.
수요곡선.공급곡선에서 기울기와 가격탄력성은 반비례의 관계에 있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A부동산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공급의 가격탄력성보다 크다는 것은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수요곡선의 기울기보다 크다는 의미이므로 수렴형입니다.
B부동산에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수요의 가격탄력성보다 크다는 것은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공급곡선의 기울기보다 크다는 의미이므로 발산형입니다.
거미집이론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이 공급의 탄력성보다 클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지면 새로운 균형으로 수렴한다.
2) 가격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이 같을 경우 균형에 충격이 가해지면 균형으로부터 이탈.발산한다.
3) 균형의 이동을 비교정학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4) 가격이 변해도 수요량은 일정기간 후에 변한다고 가정한다.
5) 가격이 변하면 공급량은 즉각 변한다고 가정한다.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1번 입니다.
2) 수요의 탄력성과 공급의 탄력성이 같을 경우는 같은 궤적으로 수급량과 가격이 순환하는 규칙적 순환형이 된다.
3) 가격변동에 대한 공급의 시차를 고려하여 그 일시적 균형의 변동과정을 동태적으로 분석한 동태모형이다.
4), 5) 가격이 변동하면 수요는 즉각적으로 영향을 받지만, 공급량은 일정한 생산기간이 경과한 후라야만 변동한다고 가정한다.
일단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문제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되는데 수렴이 된다는 것은 뭔가 안정적인 의미이고 발산이 된다는 것은 불안정하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됩니다. 무주택자 입장에서 공급이 많은 경우가 좋을지 수요가 많은 경우가 좋을지를 생각해보면 당연히 공급이 많은 경우가 집값이 안정화 되기 때문에 좋을 것입니다. 이것을 기울기로 대입해 보면 공급의 기울기가 수요의 기울기보다 클 때가 안정적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반대로 수요의 기울기가 공급의 기울기보다 클 때에는 불안정하게 발산한다고 암기하면 됩니다.
[25회 기출]
A와 B부동산시장의 함수조건 하에서 가격변화에 따른 동태적 장기 조정과정을 설명한 거미집이론에 의한 모형형태는?(단, P는 가격, Qd는 수요량, Qs는 공급량이고, 가격변화에 수요는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공급은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반응하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 A부동산시장 : 2P = 500 - Qd, 3P = 300 + 4Qs
- B부동산시장 : P = 400 - 2Qd, 2P = 100 + 4Qs
1) A : 수렴형, B : 발산형
2) A : 발산형, B : 순환형
3) A : 순환형, B : 발산형
4) A : 수렴형, B : 순환형
5) A : 발산형, B : 수렴형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입니다.
한 단계 응용된 문제로 수요함수와 공급함수의 기울기를 보면 됩니다.
A부동산시장 수요함수 기울기 : P = 250 - (1/2)Qd 로 기울기는 1/2
A부동산시장 공급함수 기울기 : P = 100 + (4/3)Qs 로 기울기는 4/3
공급함수 기울기가 더 크므로 수렴형
B부동산시장 수요함수 기울기 : P = 400 - 2Qd로 기울기는 2
B부동산시장 공급함수 기울기 : P = 50 + 2Qs로 기울기는 2
수요함수와 공급함수 기울기가 같으므로 순환형
[21회 기출]
다음 제시된 조건하에서 수요가 증가한다면, 거미집이론에 의한 A.B부동산의 모형 형태는?(다만, 다른 조건은 동일함)
- A부동산 : 수요의 가격탄력성 1.1, 공급의 가격탄력성 0.9
- B부동산 : 수요의 가격탄력성 0.9, 공급의 가격탄력성 1.3
1) A : 수렴형, B : 발산형
2) A : 발산형, B : 순환형
3) A : 순환형, B : 발산형
4) A : 수렴형, B : 순환형
5) A : 수렴형, B : 수렴형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1번 입니다.
기울기가 아닌 가격탄력성이 제시된 형태의 문제입니다.
수요곡선.공급곡선에서 기울기와 가격탄력성은 반비례의 관계에 있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A부동산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공급의 가격탄력성보다 크다는 것은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수요곡선의 기울기보다 크다는 의미이므로 수렴형입니다.
B부동산에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수요의 가격탄력성보다 크다는 것은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공급곡선의 기울기보다 크다는 의미이므로 발산형입니다.
댓글목록
박님의 댓글
박 작성일
A부동산시장 공급함수 기울기 : P = 100 + (3/4)Qs 로 기울기는 3/4
P= 100+ (4/3)Qs로 기울기는 4/3로 고쳐야 하지 않나요???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맞네요. 나누기 실수가 있었군요.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