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개론] 가격탄력성 관련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9-08-06 16:51 조회3,047회 댓글1건관련링크
본문
[25회 기출]
어느 지역의 오피스텔 가격이 4% 인상되었다. 오피스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2.0 이라면, 오피스텔 수요량의 변화는?(단, 오피스텔은 정상재이고,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나타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1) 4% 증가
2) 4% 감소
3) 8% 증가
4) 8% 감소
5) 변화 없음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문제로 가격탄력성의 정의만 알면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가격탄력성이란 수요나 공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 것입니다.
수요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인 4%로 나눈 값이 가격탄력성 2.0 이기 때문에 수요량 변화율은 8% 입니다.
가격이 인상되었기 때문에 당연히 수요량은 8% 감소입니다.
[27회 기출]
아파트 매매가격이 16% 상승함에 따라 다세대주택의 매매수요량이 8% 증가하고 아파트 매매수요량이 4% 감소한 경우에, 아파트 매매수요의 가격탄력성(A), 다세대주택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B), 아파트에 대한 다세대주택의 관계(C)는?(단,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표시하며, 다른 조건은 불변이라고 가정함)
1) A : 0.25, B : 0.5, C : 대체재
2) A : 0.25, B : 2, C : 보완재
3) A : 0.5, B : 0.25, C : 대체재
4) A : 0.5, B : 2, C : 보완재
5) A : 2, B : 0.5, C : 대체재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1번 입니다.
다른 재화간의 교차탄력성이 추가된 형태의 문제입니다.
아파트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수요량의 변화율인 4%를 가격의 변화율인 16%로 나눈 값으로 0.25 입니다.
다세대주택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은 다세대주택 수요량의 변화율인 8%를 아파트 가격변화율인 16%로 나눈 값으로 0.5 입니다. 아파트 수요량은 감소했는데 다세대주택의 수요량은 증가했기 대문에 대체재 관계에 있습니다.
[20회 기출]
다음 중 ( )안이 올바르게 묶인 것은?(다만, 중간점을 이용하여 계산한 탄력성임)
사무실의 월임대료가 9만원에서 11만원으로 상승할 때 사무실의 수요량이 108m² 에서 92m² 로 감소했다. 이때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 A ) 이며, 이 수요탄력성을 ( B )라고 할 수 있다.
1) A : 0.9, B : 탄력적
2) A : 1.0, B : 단위탄력적
3) A : 0.8, B : 비탄력적
4) A : 1.1, B : 비탄력적
5) A : 1.2, B : 탄력적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3번 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가격탄력성을 구하는 조건이 제시되었다는 것입니다.
가격탄력성은 기준점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값이 달라지게 되는데 중간점을 이용하여 계산하게 되면 값이 달라지게 됩니다. { ( 108 - 92 ) / (108 + 92) } / { ( 11 - 9 ) / (9 + 11) } 이 되어 0.08 / 0.1 = 0.8 이 됩니다.
값이 0에서 1사이 이므로 비탄력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중간점을 이용하여 계산하라는 말이 없으면 원래 값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어려운 문제들은 아니지만 복습하는 차원에서 준비해 보았습니다.
어느 지역의 오피스텔 가격이 4% 인상되었다. 오피스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2.0 이라면, 오피스텔 수요량의 변화는?(단, 오피스텔은 정상재이고,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나타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1) 4% 증가
2) 4% 감소
3) 8% 증가
4) 8% 감소
5) 변화 없음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4번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문제로 가격탄력성의 정의만 알면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가격탄력성이란 수요나 공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 것입니다.
수요량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인 4%로 나눈 값이 가격탄력성 2.0 이기 때문에 수요량 변화율은 8% 입니다.
가격이 인상되었기 때문에 당연히 수요량은 8% 감소입니다.
[27회 기출]
아파트 매매가격이 16% 상승함에 따라 다세대주택의 매매수요량이 8% 증가하고 아파트 매매수요량이 4% 감소한 경우에, 아파트 매매수요의 가격탄력성(A), 다세대주택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B), 아파트에 대한 다세대주택의 관계(C)는?(단,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절댓값으로 표시하며, 다른 조건은 불변이라고 가정함)
1) A : 0.25, B : 0.5, C : 대체재
2) A : 0.25, B : 2, C : 보완재
3) A : 0.5, B : 0.25, C : 대체재
4) A : 0.5, B : 2, C : 보완재
5) A : 2, B : 0.5, C : 대체재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1번 입니다.
다른 재화간의 교차탄력성이 추가된 형태의 문제입니다.
아파트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수요량의 변화율인 4%를 가격의 변화율인 16%로 나눈 값으로 0.25 입니다.
다세대주택 매매수요의 교차탄력성은 다세대주택 수요량의 변화율인 8%를 아파트 가격변화율인 16%로 나눈 값으로 0.5 입니다. 아파트 수요량은 감소했는데 다세대주택의 수요량은 증가했기 대문에 대체재 관계에 있습니다.
[20회 기출]
다음 중 ( )안이 올바르게 묶인 것은?(다만, 중간점을 이용하여 계산한 탄력성임)
사무실의 월임대료가 9만원에서 11만원으로 상승할 때 사무실의 수요량이 108m² 에서 92m² 로 감소했다. 이때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 A ) 이며, 이 수요탄력성을 ( B )라고 할 수 있다.
1) A : 0.9, B : 탄력적
2) A : 1.0, B : 단위탄력적
3) A : 0.8, B : 비탄력적
4) A : 1.1, B : 비탄력적
5) A : 1.2, B : 탄력적
.
.
정답은 아래에
.
.
.
.
.
.
.
.
.
.
.
.
.
.
.
정답은 3번 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가격탄력성을 구하는 조건이 제시되었다는 것입니다.
가격탄력성은 기준점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값이 달라지게 되는데 중간점을 이용하여 계산하게 되면 값이 달라지게 됩니다. { ( 108 - 92 ) / (108 + 92) } / { ( 11 - 9 ) / (9 + 11) } 이 되어 0.08 / 0.1 = 0.8 이 됩니다.
값이 0에서 1사이 이므로 비탄력적입니다.
일반적으로 중간점을 이용하여 계산하라는 말이 없으면 원래 값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어려운 문제들은 아니지만 복습하는 차원에서 준비해 보았습니다.
댓글목록
허남일님의 댓글
허남일 작성일문제 좋습니다